본문 바로가기

정보 쏙쏙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건강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기회를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2025년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은 청년들이 정신적으로 건강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공복지 사업입니다.

정신건강 문제는 사회 전체가 함께 풀어야 할 공공의 문제입니다.

 

 

마음건강 지원사업은 청년들이 건강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 목차

  1. 지원 대상
  2. 주요 프로그램 내용
  3. 신청 방법 
  4. 유의사항
  5. 자주 묻는 질문 (FAQ)

 

 

 

1. 지원 대상

연령 만 19세 ~ 만 39세 (출생연도 기준 1986년 ~ 2006년)
거주/활동 요건 서울시 거주자, 또는 서울에서 학업, 취업, 구직 중인 청년
심리상태 심리적 어려움, 우울감, 불안, 대인기피, 무기력 등을 겪고 있는 경우 누구나 가능
우선 대상 고립청년, 1인 가구, 경제적 취약층, 정신건강 고위험군 등

※ 진단 이력이 없어도 신청 가능
※ 정신과 치료 이력 있어도 차별 없이 참여 가능

 

2. 주요 프로그램 내용

🧠 초기 정신건강 평가 검사도구를 활용한 자가진단 및 전문가의 초기 평가
💬 개인 심리상담 심리상담 전문가와 1:1 대면 또는 비대면 상담 (최대 10회 무료)
👥 그룹상담 또래 청년과 함께하는 감정 나눔, 자존감 회복 그룹 활동
🧘 감정조절 프로그램 스트레스 관리, 명상, 미술치료, 호흡훈련 등 힐링 콘텐츠
🏥 정신과 연계 필요 시 의료기관 연결 및 약물치료 연계 (의사 진료 포함)
📋 사례관리 상담 후 정기적으로 상태 확인 및 지원 연장 여부 판단

1:1 상담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전문 심리상담가가 직접 배정되고, 필요 시 정신과 의사와의 연계도 가능합니다.

 

정신적 회복에 도움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으시기 바랍니다.

신청방법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3. 신청 방법 

청년몽땅정보통에 접속하셔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아래 사이트를 통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4. 유의사항

  • 신청 후 무단 불참 2회 이상 시 서비스 제한 가능
  • 무료 상담은 최대 10회이며, 연장 여부는 상담사의 판단에 따름
  • 상담 내용은 비밀 보장되며, 외부 유출 절대 없음
  • 실제 거주지가 서울이 아닌 경우 지원 제외될 수 있음

자주 묻는 질문을 읽어보시고 확실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은 아래를 확인해주세요.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꼭 병원 진단이 있어야 신청 가능한가요?
A. 아닙니다. 병원 진단 없이도 신청 가능하며, 불안, 우울감 등 자각 증상만 있어도 지원 받을 수 있어요.

 

Q2. 1회 상담 시간은 얼마나 되나요?
A. 보통 50분 내외로 진행되며, 상담 유형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Q3. 온라인 상담도 가능한가요?
A. 네, 일부 센터에서는 ZOOM, Google Meet 등의 온라인 상담도 운영 중입니다.

 

Q4. 직장인도 시간 맞춰 상담 받을 수 있나요?
A. 대부분 센터에서 저녁 시간 또는 주말 상담 운영도 가능하니 신청 시 시간대 선택하세요.